-
웹/파이선프로그래밍 공부카테고리 없음 2023. 3. 9. 17:02
[개요]
웹파 강의는 박t 이t가 있었는데 박t가 압도적으로 수강평이 좋아 편입생 얘기로 빌넣 성공. 첫수업당시 빌넣성공여부가 안나와서 가지못했고 두번째 수업부터 듣기 시작함. 일단 교수님이 엄청 젊으시고 피지컬도 좋으심. 성격도 학교선생님보다 좋으신듯.. 처음 듣자마자 이게 왜 5.0 평점 수업인지 한번에 이해됨. 그리고 외국인 학생도 듣기때문에 강의자료가 영어로 되어있음.
[3/6(월) 수업내용]
< Arithmetic operation(산술연산) >
- x % y (modulus) => x를 y로 나눈 나머지
- x // y (floor division) => 버림나눗셈으로 나눗셈의 결과값에서 소수점을 버림. 이때 결과가 -4.5같은 경우가 나오면 파이선에서는 floor divsion방식으로 결과값을 한단계 내려서 출력함. 그결과 -5가 출력됨.
division에는 euclid's division( 나머지는 무조건 양수로 ), truncated division( -4.5의 결과값에서 소수점 버림 따라서 -4 출력), floor divsion방식이 존재. 파이썬은 floor division 사용함. 그이유는 코딩과정에서 예를들어 오늘이 5일(일요일)이라 했을때 2주전은 무슨요일인가? 라는 내용을 코딩할때 (5-14) % 7 = (-9) % 7 = 5 vs -2 라는 2개의 결과가 나오는데 floor divsion방식은 나머지를 5로 계산하여 이 5라는 숫자와 처음에 제시된 5일이 동일하기때문에 일요일이다! 라는 결과값을 도출 가능함.
- x ** y (exponentiation) => x의 y승을 의미.
< comment(주석) >
방법은 3가지로 나뉨.
1) #앞에 붙이기 ( 이때 작성코드 옆에다가 주석을 작성해야함. ex) print(9//2) #asdfsdalfksajflkf
2)양옆에 "3개붙이기 ex) """blah"""
3)양옆에 '3개붙이기 ex) '''blah'''
< Variables(변수) >
* 변수의 네이밍 룰*
1. 변수 앞은 무조건 글자or 언더바(_) (숫자나 특수기호로 시작 안됨)
2. 띄어쓰기 불가
3. python과 PYTHON과 pyTHON 전부 다른변수임
4. keywords는 변수가 될수 없음.(ex. for, if, else ...)허나 얘들을 대문자로 써주면 소문자일때와 다른 것을 인식하기에 가능함(ex. FOR, ELSE)
5. print, sum, id와 같은 애들을 변수로 지정할순있는데 추천 안함.
* 변수를 지정할때 숫자를 그냥 a = 1로 저장할수도있고, a = "1"로 저장할수도 있음. 여기서 주의해야할것은 print(a)를 했을때 두경우 모두 1로 출력됨
<Assignment(할당)>
a -= 3 <=> a = a - 3
a /= 3 <=> a = a / 3
a //= 3 <=> a = a // 3
a %= 3 <=> a = a % 3
a **= 3 <=> a = a ** 3
[ id ] : print(id(a))의 의미는 a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보여준다.
[ input ]
name = input("enter your name: ")
>> enter your name: ikjun
print(name)
>>> ikjun
* input의 사용 *
- 어떤 식에 영어가 있음. 근데 내가 그 영어 변수로 지정 안해줬는데 식 쓰고싶음. 그 영어를 fire라하면,
fire = input("fire: ")를 통해 코딩 가능. ***단 이때 숫자를 input값에 입력해도 문자로 받아들임. 따라서 숫자로 처리하고싶을때는 fire = int(fire)과정을 거쳐줘야함.
<Data Types>
[type] : print(type(value)) 라고하면 value가 어떤 type인지 나온다. int = 정수 / str = 문자열
[ 주피터 사용법 ]
- 주로 code모드와 markdown모드를 사용할것. markdown은 주석과 비슷한 부분.
3/23 extend
https://brownbears.tistory.com/452